MBOT 급락 원인 요약 ① 주식 희석(Dilution) 여러 투자자분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원인입니다. 회사가 추가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거나 조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희석은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을 유발하지만, FDA 승인 이후 상업화 준비 자금 확보용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② 단기 기술적 조정 일부 투자자는 “단기 하락 후 바닥 탐색 중”이라며 기술적 조정 단계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미국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외부 요인들의 불확실성으로 “시장 전반 약세(특히 금리 인하 불확실성)”도 하락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③ 시장 전반 악재 미국은 현재 Medicaid·Medicare 예산 삭감, 의료 분야 고용감소(–91만 개), 경기 둔화 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즉, 헬스케어 섹터 전반에 대한 매도세가 MBOT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특이한 사항) MBOT / Microbot Medical – Historical Put/Call Ratio” 이는 기관들이 MBOT에 대해 매도(put) 대비 매수(call) 포지션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비율입니다. (출처) https://fintel.io/so/us/mbot 녹색 막대(Call Options): 기관들이 “상승”에 베팅하고 있는 계약을 뜻합니다. 붉은 막대(Put Options): 기관들이 “하락”에 베팅하고 있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회색선(MBOT Closing Price): MBOT 주가 흐름입니다. 최근 데이터에서는 거의 모든 막대가 녹색(call)입니다. 즉, 기관들이 매도(put)가 아니라 상승(call)에 베팅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영리하게 매수한다고 봅니다. 최대한 불확실성을 이용한 매수 전략, 그들만의 주특기) “almost 97% are longs”, 즉 97%가 매수(롱) 포지션이라는 뜻입니다. ‘Institutional Ownership’은 연기금, 펀드, ETF, 헤지펀드, 대형 운용사 같은 기관 투자자들이 주식을 얼마나 들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최근 MBOT 주식의 기관 보유가 매우 탄탄하다고 보는 관점이 우세한 이유입니다. 거의 97%가 롱(매수) 포지션이며, 그 중에는 잘 알려진 대형 기관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단기 트레이더가 아니라 전문 기관들이 장기 보유 의도로 매수 중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좋은건가? 일단은 이 수치는 기술적·심리적 측면에서 매우 강세 신호로 해석됩니다. 97% 롱 포지션 기관들이 하락이 아닌 상승에 베팅 기관이 향후 제품 상용화·FDA 승인 이후 가치를 높게 본다는 의미라고 봅니다. 유명 기관 참여했다는 점입니다. Intracoastal, Vanguard 등 언급 신뢰도 높은 기관이 참여 → 시장 신뢰 상승 콜옵션 중심 구조 상승에 대한 확신 베팅 단기조정보다는 중기 이후 상승 관점이 존재합니다. 주의할 점은? 기관이 “롱 포지션”이라도, 즉각적인 주가 상승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들은 중·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하고, 기술 상용화(LIBERTY 상업화) 시점을 기다립니다. 계약과 매출이 핵심입니다. 반대로, 저같은 개인 투자자는 이 정보를 심리 안정 및 신뢰 보강 신호로 받아들이면 좋습니다. 모니터링은 지속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CIO 행사 사진 *****투자에 대한 작은 당부***** 이 글은 개인적인 견해와 공부의 기록을 나누기 위한 것이며,어떠한 종목의 매수나 매도를 권유하는 내용이 아닙니다.주식 투자에는 늘 위험과 기회가 함께 존재합니다.따라서 투자 판단과 그 결과의 책임은 언제나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저의 글이 여러분의 생각을 정리하고, 보다 신중하고 현명한 판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