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월세 내고 나면 빈곤율 급등…1인가구·한부모 가정 더 아프다

1달전

0

댓글 50

[서울신문]월세 내면 빈곤율 최대 6.3%P 증가
극빈층일수록 월세 지출에 ‘휘청’


최저임금을 받는 A(27)씨는 원룸 월세에 허리가 휠 지경이다. 관리비를 포함해 70만원쯤이 빠져나가면 140만원 남짓 남는다. A씨는 “매달 월세로 뭉텅이 돈이 나가니 아무리 아껴도 빠듯하다”고 털어놨다.

전세 사기, 전세대출 규제 강화 여파로 ‘전세의 월세화’ 경향이 뚜렷한 가운데 서울의 빌라·오피스텔 월세마저 고공행진을 하면서 빈곤층을 옥죄고 있다. 특히 월세 주거 비중이 47.7%(2021년 기준·전체 평균 25.5%)에 이르는 1인가구, 10가구 중 6가구꼴(58.6%)인 한부모 가구의 빈곤율이 악화하고 있다. 1인가구 비중이 큰 청년·고령층과 한부모 등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안정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빈곤 개념 및 측정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의 빈곤율(중위 경상소득 50% 기준)은 월세 납입 전후 2.2% 포인트(41.4%→43.6%) 커졌다. 월세 납입 전후 4인가구 빈곤율이 0.2% 포인트(2.3%→2.5%)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미성년 자녀를 둔 한부모 가구의 월세 전후 빈곤율 격차는 더 두드러졌다. 월세 임차료를 내기 전 빈곤율은 22.1%였는데, 내고 나니 28.4%로 6.3% 포인트 급등했다. 전체 가구 유형을 통틀어 상승폭이 가장 크다.

보사연은 “중위소득 30% 미만의 극빈층은 2010년 이후 최근으로 올수록 월세 전후 빈곤율 차이가 더 벌어지는 경향을 보였다”며 “월세가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극빈층일수록 더 커지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 70%의 평균 연소득은 2606만원으로, 전체 가구(3950만원)보다 34.0% 낮다.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이 30%를 초과하는 ‘주거비 과부담 가구 비중’도 30.8%로, 전체 가구(26.7%)보다 높다. 

세종 이현정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손연재 ♥‘금융맨’ 남편 얼굴 공개됐다… 특급호텔 돌잔치 근황
☞ ‘♥6살 연하’와 재혼 앞둔 서정희, 예비 시댁서 인정 안 해줘
☞ ‘60억 세금 탈루설’ 이하늬 “현재 전액 납부 완료…고의 아냐”
☞ 린샤오쥔 “나는 중국인…시상대 中국기 매우 자랑스럽다”
☞ 강부자 “아들은 美연구원·사위는 美공무원” 비법 ‘싹 다’ 공개
☞ “남은 음식 포장해 4끼 해결”…‘짠돌이’ 임우일 1000만원 펑펑
☞ 봉준호 감독, 손석희와 6년만 재회…故이선균 언급하며 울컥
☞ “김새론 매장…사회가 오징어게임 같아” 정신과 교수의 한탄
☞ 김정은 ‘분노’…“일 안하고 女봉사원과 목욕탕 들어가 성접대”
☞ 유상무, 대장암 3기 완치 후 근황…환자복 입고 병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