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으로 최근 가장 많이 나온 공격 키워드는 의료(145회)였다. 비슷하게는 응급실(48회), 병원(46회) 등이 있었다. 민주당 최고위는 코로나19 재유행과 의정 갈등 지속 상황에서 응급 의료대란을 우려하며 정부에 해결책을 요구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지난달 23일 "의료 시스템 파괴와 함께 윤석열 정권이 무너져야 하지 않겠나"라고 비판했고, 이 대표도 6일 "의사, 국민, 전 정부, 야당을 탓할 게 아니라 스스로 책임지는 게 바로 권력"이라고 꼬집었다.
이러한 말 공세는 추석 연휴 기간 응급 의료 차질 상황이 악화할 경우 정부·여당에 책임을 돌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3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 평가의 첫 번째 이유는 의대 정원 확대(18%)로 집계될 만큼 의료대란은 현 정부의 가장 큰 실책으로 꼽힌다. 해당 조사에서 윤 대통령 긍정 평가는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낮은 20%로 나타났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고위 회의 때마다 빠지지 않고 언급된 또 하나의 키워드는 김건희(88회)다.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총선 공천 개입 의혹 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며 특검(특별검사)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낸 전현희 최고위원은 지난달 23일 검찰과 권익위, 감사원 등 권력기관들이 "김 여사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존재 의미를 상실하고 무너져 간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최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항소심에서 김 여사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 의심받는 전주(錢主) 손모씨의 방조 혐의가 인정되자 "특검은 필연"이라고 목소리 높였다.
윤석열 정부의 친일 논란도 매회의 때마다 제기됐다. 단어 빈도수로는 일본(63회), 독도(44회), 친일(25회) 순이다. 최고위는 뉴라이트 논란 국무위원 인사,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문제 등을 짚으며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특히 군 장성 출신인 김병주 최고위원이 "친일을 넘어 숭일하는 정권이야말로 망국의 길 아니냐. 독도를 지우고, 역사를 지우고, 윤석열 정권은 또 무엇을 지울 셈이냐"고 맹비난하는 등 공세에 열을 올렸다.
한동훈은 특검 압박용…친명 지도부, 이재명 방탄에도 방점
연합뉴스최고위 발언 중 여당인 국민의힘을 겨냥한 횟수는 59회로, 윤 대통령을 향한 발언 빈도보다 현저히 떨어졌다. 내용도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에게 채 상병 특검법을 서둘러 발의하라고 촉구하는 게 대부분이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여야 대표 회담 전 "채 해병 특검 해결 의지조차 없다면 실권이 전혀 없다고 평가되는 한 대표와의 회담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말로만 윤석열 아바타가 아니라고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이길 바란다"고 쏘아붙이기도 했다.
그간 민주당은 야당으로서 대여 투쟁과 민생, 투트랙 전략을 쓴다고 알려졌는데 최고위 발언 빈도로만 봤을 때 민생은 61회 언급됐고, 대안과 비전 제시는 후순위에 속했다. 정책 중엔 구체적으로 지역화폐를 활용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이 강조됐다. 이 대표는 지역화폐에 대해 "가장 효율적인 재정 정책인 동시에 경제 정책"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민생회복지원금 지급법에 거부권을 쓴 데 대해선 "대안도 없이 상대가 주장하면 무조건 부정하고 보는 마인드로는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쉽지 않다"고 따졌다.
한편 명실상부 친명 체제답게 회의 중 이재명이 나온 횟수는 총 51회로, 최고위원들의 방탄 발언이 이어졌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지난 9일 "저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민주당과 이 대표의 수석 변호인을 자임한 바 있다"며 1심 선고가 얼마 안 남은 이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관련 검찰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13일 "검찰의 이 대표 제거 공작은 야쿠자를 동원해 자행된 일제의 명성황후 시해, 작전명 여우 사냥과 같은 추악한 음모"라며 발언 수위를 대폭 높였다.
여기에 이재명 2기 지도부는 1기 때와 달리 이 대표 뿐 아니라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에도 방어 태세를 갖췄다. 대권을 준비하는 이 대표가 당 내부 분열을 최소화하고 계파를 아우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당 검찰독재대책위원장을 맡는 동시에 전 정권 정치탄압 대책위에도 참여하며 "무고한 동지들을 무도한 검찰 권력으로부터 반드시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최고위 발언 중 검찰 빈도수는 111회, 수사는 65회를 차지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