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풀라" 7억 쏟은 대치동 유리부스…중고생 의외 반응
1년전
0
댓글 164
서울시 강남구 도곡로에 위치한 스트레스프리존은 청소년들을 위한 쉼터로 조성됐으나 이용률이 저조해
지난 22일 오후 8시쯤,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로 불리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거리. 운동복 차림에 커다란 책가방을 등에 멘 채 걸음을 재촉하는 수십 명의 중·고등학생들 사이로 불빛을 뿜어내는 투명한 유리 부스들이 눈에 띄었다. 강남구청이 지난 4월 설치한 일명 ‘스트레스 프리존’(프리존)이다. 대치동에 있는 프리존 5곳 중 한 곳인 ‘리프레시 테라피존’을 찾은 초등학교 5학년 A군은 “친구들끼리 저기 들어가서 누가 더 탕후루를 깨어 먹는 소리가 큰지 내기를 하는 게 유행”이라며 맞은 편의 부스를 가리켰다. 방음시설과 마이크 등이 갖춰진 ‘사운드 테라피존’이었다. 이날 오후 7시 30분부터 운영 마감 시간인 오후 10시 30분까지 이곳을 포함해 도곡로에 있는 프리존(4곳)을 찾은 사람은 A군과 친구를 포함해 초등학생·유치원생 5명이 전부였다. 그사이 수백명의 중·고등학생들이 부스를 지나쳤지만, 부스 안을 흘끔거릴 뿐 실제로 이용하는 모습은 볼 수 없었다.스트레스프리존을 이요한 학생들이 적어둔 쪽지. "원하는 대학에 가자" "힘내자" 등 서로를 응원하는 메시지가 적혀 있다. 신혜연 기자.
프리존 5곳 설치 등 해당 사업을 진행하는데 초기 예산 6억 8000만원이 들었고, 냉난방 기기나 CCTV 가동 등을 위한 예산도 지속적으로 투입된다. 하지만 이용률은 저조했다. 운영 시작 후 2달여간 5개 부스의 하루 평균 이용객을 다 합쳐도 100명을 넘기기 어려울 만큼 학생들에게 외면 받았다. 사전에 대면 인증을 통해 출입 스티커를 발급받아야만 들어갈 수 있어 불편하고, 유리 부스를 통해 밖에서 안을 훤히 들여다볼 수 있을 만큼 개방돼 있어 이용하기 꺼려진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강남구에서 운영 중인 스트레스프리존 부스는 모두 5개로, 학원가가 밀집한 도곡로 일대에 위치해 있다. 강남구청 홈페이지.
밤 10시 30분이 넘어 불이 꺼진 스트레스프리존 부스. 강남구 대치동 일대는 학생들이 저녁을 먹는 오후 7시 무렵과 학원 수업이 끝나는 밤 10시 무렵이 가장 붐비는 시간대라고 한다. 신혜연 기자.
댓글 0개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