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1년만에 유엔 안보리 재진입…비상임이사국 선출(종합)

1년전

0

댓글 160

192개 회원국 중 180표 획득…내년부터 세 번째 활동 시작
거부권 없지만 안보리 현안논의·표결 참여…외교 지평 확대 기대
北 핵위협 대응 등 안보리의 한반도 문제 논의에도 적극 관여 가능

유엔 총회 모습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강건택 특파원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한국은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총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한 192개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24∼20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이 됐다.

아태 지역에서 1개국, 아프리카에서 2개국, 중남미에서 1개국, 동유럽에서 1개국을 각각 뽑는 이번 선거에서 한국은 아태그룹의 단독 후보로 나섰다.

[그래픽]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구성 국가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한국의 세 번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진출 여부가 6일(현지시간) 판가름난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유엔 가입 5년 만인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안보리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각종 논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5개 상임이사국과 2년 임기의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은 5개 상임이사국에게만 주어진 거부권만 행사할 수 없을뿐 유엔 안보리의 현안 논의와 표결에 참여할 수 있다.

한국은 이번 비상임이사국 진출로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고, 글로벌 중추국가 목표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 글로벌 중추국가라는 키워드에 맞춰 ▲평화유지(PKO)·평화구축에 대한 기여 ▲여성과 평화 안보에 대한 기여 ▲사이버안보에 대한 기여 ▲기후변화 극복에 대한 기여 등 네 가지 중점 과제를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 공약으로 발표했다.

이와 함께 비상임이사국이 됨에 따라 한국은 향후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응 등 안보리의 한반도 현안 논의에도 더욱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축하받는 황준국 주유엔대사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한편 이날 선거에서는 한국과 함께 알제리와 시에라리온, 가이아나가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슬로베니아와 벨라루스가 출마해 서방 대 러시아의 대리전 양상을 보인 동유럽 지역의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는 서방의 지지를 받은 슬로베니아가 선출됐다.

koman@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오리? 누가봐도 쥐" 거짓말 논란으로 번진 中대학 급식 이물질
한인 살해 후 시신 소각해 유기…필리핀 경찰의 잔혹범죄
법원, 전우원 주식 가압류 박상아 신청 인용
"한반도 8천만명중 3천만명은 6.25 전쟁이 북침인줄"
폭파된 우크라 남부 댐은 충주호 7배 물 모아둔 전략요충지
"가족 찾아달라" 공안에 도움 요청한 中 살인범 31년만에 덜미
또래 살해 정유정, 사이코패스 검사서 정상 범위 넘어
한국인 여성 BJ, 대만서 성추행 피해…현지경찰 수사
아시아의 유별난 샥스핀 식탐에 페루 상어 씨 마른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