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영주권자 투표권 폐지해야 한다국내에서 영주권을 획득하고, 3년 체류 조건을 만족한 사람에게는 지방선거 투표권이 주어진다2005년 노무현정권때 만들어진 법이다2025년 1월 현재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외국인 선거권자 가운데 중공인이 81%로 압도적이었다.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외국인 선거권자 숫자는 외국인 선거권이 도입된 제4회 지방선거(2006년)에선 6700명이었는데, 이후 4만8400명(2014년)→10만6200명(2018년)→12만7600명(2022년) 등으로 급격히 증가했다.올해 재ㆍ보궐선거에서는 3년 전 지방선거보다 1만2000여명이 늘었다 한다.외국인 투표권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일본 정부의 재일교포 참정권 부여를 촉구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는데, 일본과 중국은 여전히 외국인 참정권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또한 국내4년제 대학을 졸업한 외국인에게는 영주권과 투표권을 동시에 부여하자는 법안이 2019년 5월에 발의 되었다는 사실이 있었다는게 놀라울 따름이다특히 중공유학생들 대부분이 중국공산당원인데, 이들에게 영주권과 투표권을 부여하고 이미 투표권을 가진 국내거주하는 조선족들까지 포함하면?도대체 이 나라가 누구를 위한 나라인가?그리고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중 64.5% 가 조선족, 한족을 포함한 중공 출신이다.이어 베트남 출신 21.4%, 필리핀 출신 4.7%, 대만 출신 2.0%로 뒤를 잇는다. 나머지 국가는 모두 1% 미만이다.외국인 및 귀화한 유권자 가운데 절대 다수가 중공 출신이라는 점은 현재 대한민국의 진짜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외국인 지방선거 투표권을 폐지하라'는 의견이 팽배하다.영주권을 가졌거나, 귀화한 많은 '중공 출신'의 사람들이 여전히 모국을 '중국'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영등포구, 금천구, 구로구, 안산 원곡동을 비롯해서 대한민국 곳곳에 수많은 중공인 밀집지역이 있는데 저들에게 투표권이 있다는것은 있을수 없는일이다중국인 밀집지역은 저들에 의해 이미 민심이 왜곡된 지경에 이르렀다.대한민국이 중공인들의 놀이터인가?중공인 밀집지역은 지금도 계속해서 팽창중이다이제 외국인영주권자 투표권제도를 손봐야한다외국인영주권자 투표권제도를 도입한 취지가 중공인들에 의해 악용되고있는 현실이다.설령 외국인투표권제도를 유지한다해도 최소한 중국본토에서 건너온 중공인들의 투표권만큼은 상호주의원칙에 입각해 폐지해야한다중공인들에 의해 여론조사도 결정되고 선거도 결정되고 한글에 능숙한 조선족이 댓글을 단다는 것은 마치 대한민국이 중공에 침략당한 것과 같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저들 중국인에게 투표권까지 준다면 대한민국이 한국인을 위한 나라가 아니라 중국인의 눈치를 봐야하는 어처구니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중공의 인해전술로 인해 대한민국의 존립마저 위태롭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