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 후기

켐트로닉스(089010)

4달전

조회 637

공감 28

비공감 1

켐트로닉스 차트
매출: 올해 24년 과 보수적으로 비슷, 하반기 부터 증가, 내년 본격 증가 예상(8.6세대 OLED, PGEMA)유리기판: 핵심온 제이쓰리 인수로, 유리기판 레이저로 홀 내어 구리 도금 말고 다 할 수 있음.식각 - CMP 공정 -검사 - 싱귤레이션..- 삼전 유리 인터포저 는 올해 가시적 결과 나올 듯.자율주행: 아직은 조용 하지만, 웨이모, 테슬라의 로보텍시, 우버 택시, 중국쪽 자율주행 뉴스가 2분기 부터 서서히 나올 듯.결론: 올 해는 실적 보다는 이슈로(유리기판 + 자율주행),, 주가는 2분기 부터 서서히...켐트로닉스는 워낙 많은 사람들한테 알려져 있는 종목이고, 회사가 커질 룸이 많은 종목이라고 생각하는데,역시 참석한 주주들의 수준이 매우 높아서 난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공부했구나라고 많이 느낀 주총이였음(주주는 나 포함 6~7명 정도)대표가 상당히 젊어서 놀랐고, 주총은 간단히 끝나고 주주간담회를 별도의 공간에서PPT를 띄어가며 설명해주었는데 상당히 이해가 잘되고 좋았다특히 IR담당자분이 주주를 많이 위한다고 느꼈는데, 주주로써 궁금한점은 최대한 해소시켜주려고 노력해주는게 느껴졌음간담회에서 나온 내용을 모두 적기엔 워낙 많은 이야기가 오갔기에 큰 틀에서 핵심만 요약 정리하고자 함<시작말>1. 사업 영역을 반도체, 전자, 전장, 유통으로 작년 1분기부터 사업 분류를 바꿨는데, 가장 앞에 반도체를 둘정도로 반도체사업을 중요시하고 있음2. 작년부터 시장관심이 커진 유리기판 TGV관련 사업들도 추진할 계획에 있음3. 제이쓰리는 웨이퍼 재생하는 사업을 주력을 하고 있는데, 이쪽 인프라를 활용해서 유리판, PGMEA, 소재 같은 것도 함께할 것이라 생각4. 반도체 소재나, 디스플레이쪽 투자 거의 완료, 내년부터 3~4년 이상 매출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내년부터)<반도체 소재 사업>1. 반도체쪽은 PGMEA나 PGME쪽 중심으로 투자를 했고 영업 중2. PGMEA를 받아 PR이나 신나나 여러 소재 만드는 회사에게 샘플 제공한 상태?3. PGMEA는 예상보다 늦어졌지만 한두 업체씩 통과하고 있고, 하반기에 물량이 많이 올라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음4. 처음엔 PGMEA만 생각했었는데, 고객사와 이야기 하다보니 용매쪽 니즈가 많이 늘어났음, PGME같은 경우 EUV쪽 들어가는 용매는 PGMEA보다 PGME를 선호하고 있음, 그래서 PGME도 납품 하고 있고, 이외에도 NMEA, PGEE쪽 니즈도 많이 있음(양은 적지만)타 업체보다 품질이라든지 가격에서 경쟁력 있음5. 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아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지 않고, 딜레이 된 경향이 있음올해 반도체 매출은 420억 정도 생각 중(PGMEA, PGME등 다 포함해서)<유리기판>1. 삼성전자는 인터포져쪽, 삼성전기랑은 코어기판 쪽, 같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많이 다름(열팽창 율 등)2. 인터포져 같은 경우 실리콘 인터포저를 글레스로 바꾸는 것으로 보면 됨3. 회사에서 판단하기에는 삼성전자와 하는 인터포져 쪽이 더 빠르게 상용화 될 거라 봄4. 유리기판 쪽은(삼성전기와 하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 생각함, 켐트로닉스 문제가 아닌 고객사에서 기판만 바꾸는게 아니라 패키지?까지 다바꿔야되는 부분, 쉽지 않음5. TGV기술이 유리기판이 요즘 부각되서 유리기판만 생각하는데, 마이크로LED쪽도 활용됨(이미지 센서 쪽도 사용, 카메라 모듈 두께 감소)6. 유리기판 제조 공정은 구리 도금 빼고는 설비나 기술 대부분을 다 갖추고 있음,7. 켐트로닉스의 경쟁력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홀을 뚫는 것은 아니지만 식각을 하는 부분에서 메이저 업체들과 대량 양산을 하고 있고, 제이쓰리 인수로 불산을 다룰 수 있는 capa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불산 허가에 수년 소요),8. TGV양산시 제이쓰리 부지 활용하여 바로 양산라인 구축 가능, 벨류체인도 거의 완성9. 자기들도 투자하려고 다 계획 중인데, 잘안되고 있음 왜냐? 고객사에서 스펙을 확정하지 못해서 뭘로 해야될지 결정을 못함,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경쟁사도 마찬가지 일 것(EX, 고객사가 원하는 스펙, 레이저 장비사 마다 특성도 다름, 식각방식 등)10. 그래서 샘플 혹은 파일럿 정도 투자 계획11. 켐트로닉스 경쟁력 하나더 말하자면, 식각만 하는게 아니라 폴리싱도 해야하는데 켐트로닉스는 이미 진행한 경험이 있고, 불산 사용해야하는데 국내 업체는 불산사용에서 제한적임(불산이 허가가 까다로움)12. 기판 관련 매출 발생이 언제될지는 모르겠음, 삼성전기가 결정하는 것이 아님 엔드유저가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13. 인터포져 같은 경우에는 기존 실리콘을 대체하는 부분이라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어 신뢰성만 확보된다면 바로 되지 않을까 생각14. 뉴스에서 봤듯이 필옵틱스와 샘플 제출을 했는데, 결과는 아직 나온게 없음 향후 NDA체결 후 조금더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제이쓰리>1. 제이쓰리 인수 이유 중 불산 사용에 관한 것도 있지만, 웨어퍼 가공하는 업체이다 보니 CMP장비가 있음, CMP장비를 우리가 활용이 가능, 구리는 외주를 주고 있음2. CMP장비뿐만아니라 검사 장비도 매우 비싼데, 제이쓰리가 모두 보유중3. 웨이퍼 재생 국내에서 2개 밖에 없는데, 한 개 업체는 불산 사용이 제한적, 그래서 그 업체 물량을 제이쓰리에서 많이 하고 있음4. 메인고객은 삼성과 하이닉스인데 컨텍 중5. 올해 BEP(100억 초반) 달성이 목표(목표는 140억)6. 메인고객에서도 웨이퍼 재생 관심 많음, 업황이 어려워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7. 지금은 일본이 꽉 잡고 있는 사업,8. 시장규모가 삼성 2천억, 하닉 1천억 수준인데 대부분이 일본에서 처리하기에 국산화 니즈가 있을 것이라 봄9. 기존 제이쓰리는 영업이 안된 것, 기존 대표 SKC 출신이였는데, 과다 투자하다가 제이쓰리가 부도 난 것, 게다가 역설적이게 업황이 워낙 좋았어야지고 고객사가 관심이 없었음, 너무 이르게 투자한 것?<디스플레이>1. 식각을 건식으로 할 가능성은 없음, 왜냐 정밀하게 가공이 안됨, 그래서 8.6G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 타사에서 3~4년전에 건식 도전했다가 포기2. 작년 북미향 제품이 이렇게 안될지 예상 못함, 재고 때문에 작년 6G 생산량 많이 줄었고, 작년 하반기부터 다시 늘려가는 중3. 리지드 쪽은 지속 풀케파(수요 계속 늘어나는 중 IT기기나 전장 쪽 늘어나는 중)4. 하반기 전체 식각에 85% 수준 점유인데, 국내 경쟁사가 하나 빠질 것 3분기에는 100% 점유할 것으로 보나, 중국쪽 업체가 들어올 것으로 본다. 그래서 다시 85% 수준으로 될 것으로 예상(중국쪽이 품질이나 비용면에서 하는게 아니라 이원화 개념에서 하는 것으로 봄)5. 6G 올해 하반기부터 물량이 올라올 예정, 8.6G 내년 상반기 양산이 잡혀있음6. CR문제는 작년에 잘 방어했음, 고객사도 생산성의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고 있음7. 8.6G 북미고객사향 테스트 물량 나감(본격 매출은 역산해보면 됨 내년 북미 고객사 신제품 나오기 몇 달 전 재고 확보차원에서 물량이 나옴)8. 8.6G 수율은 자신있음 6G때 개고생해서 웬만한 문제는 다 해결9. 켐트로닉스가 하는 것들 아무나 못함, 여러 노하우가 필요?<기타>1. 시설 투자 자금 마련계획은 내부적으로 투자 검토는 완료됨, 제이쓰리 유형자산 담보로 은행권에 대출 실행할 예정, 290억 정도는 대출이 나올 것으로 보고있음(220억으로 인수했는데, 감정평가 결과 290억 정도)2. 갑자기 물량이 늘어나도 모바일이 좀 빠지고, IT나 전장쪽이 올라오고 있어서 회사 예상으로는 CAPA를 안늘려도 충분히 대응이 될 것으로 봄3. 올해 가이던스는 작년하고 비슷할 것 같음(보수적일 수 밖에 없다 우린)4. 내년은 좋을 것으로 보는게, 8.6G양산이 들어가고, PGMEA쪽 통과되면 내년부터는 본격 양산 공급됨, 그리고 장치산업은 매출이 늘면 이익이 급격히 늘어나는 구조, 우린 이미 그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한 투자를 끝내놓은 상태, 그래서 내년에 좋아 질 것으로 봄5. 올해는 보리고개, 투자는 다 됨, 성과는 내년부터 올해는 좀 쉬어 가려나 했는데 TGV나 이런 것들이 급격히 돌아가는 중6. IR은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켐트로닉스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