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결함 기장실수 헛소리좀 그만해라.

제주항공(089590)

10달전

조회 163

공감 1

비공감 0

제주항공 차트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 사고와 관련 사고 영상을 본 현직 조종사들은 엔진 2개가 모두 고장 나 기장이 랜딩기어(착륙 장치)를 작동하는 데 실패하고 동체 착륙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현직 기장 A 씨는“사고 당시 영상을 보면 항공기 오른쪽 엔진뿐 아니라 왼쪽 엔진에도 미세한 연기가 나고 있어 두 개 엔진 모두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보잉사의 항공기의 경우 엔진 두 개가 모두 고장나면 APU(보조동력장치)가 작동되기 전까지 모든 전자기기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왼쪽 엔진에도 조류가 빨려 들어가,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엔진이 고장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여객기가 착륙중 추락해 사고가 발생했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여객기가 착륙중 추락해 사고가 발생했다.

항공기 내 모든 전자기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엔진이 고장 나면 항공기 속도를 줄이거나 랜딩기어 등을 자동으로 내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때 조종사들은 수동으로 랜딩기어를 내리려고 시도하는데, 보통 랜딩기어 1개를 수동으로 내리는 데 30초 가량 필요하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도 “(사고 영상에 나타난) 착륙 속도를 보면 기장이 양쪽 엔진을 컨트롤하기 불가능한 상태였던 것 같고, 1차 착륙 뒤 활주로 변경 조치는 두 엔진 모두 제어하기 어려울 때 내리는 조치”며 “그런데 조종사가 수동으로 랜딩기어를 내리기에도 시간이 부족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운전중에 멧돼지가 붙이혀도 현기차 욕하는 지능수준이니..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제주항공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