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트컴장군·한묘숙 여사 ㅡㅡㅡㅡ전쟁고아 돕다 33살 나이차 극복하고 결혼
위트컴 장군 ㅡㅡ러브스토리
위트컴 장군·한묘숙 여사, ㅡㅡㅡ유엔기념공원에 합장
리차드 위트컴(1894~1982) 유엔군(미군) 부산군수기지사령관과 ㅡ부인 한묘숙(1927~2017) 여사의 러브스토리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파란만장한 두 사람의 인생 못지않게 드라마틱하고 감동적이다. 6·25전쟁 이후 전쟁고아를 위한 활동을 하면서 서로 알고 지내다가 1964년 결혼했다.
사별하고 혼자가 된 70살의 위트컴 장군과 당시 37세였던 한 여사는 ㅡㅡ33살의 나이 차이를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었다. 한 여사는 재혼이었다.
위트컴 장군은 6·25 전쟁이 끝나고 전역한 뒤에도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 남아 ‘한미재단’을 설립해 전쟁고아를 돕는 등 한국의 재건에 헌신했다. 장군은 1963년 어느 날 전쟁고아를 위문하기 위해 충남 천안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아동보육시설인 ‘익선원’을 방문했는데, 그 자리에서 익선원을 운영하던 한묘숙 여사를 운명적으로 만났다. 장군은 익선원한 여사는 영어 회화가 가능해 위트컴 장군과 쉽게 소통할 수 있었다. 위트컴 장군은 익선원의 후원자가 됐고 만남은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여사는 익선원을 찾아온 장군에게 자신이 미국에 유학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했다. 한 여사는 당시 전 남편과 이혼하고 두 아이를 혼자 키우고 있었다. 장군은 평소 한 여사를 연모해온 터라 그 부탁을 도저히 들어줄 수 없었다. 작고 가냘프지만 고아원을 당당하고 용기 있게 운영하던 한 여사에게 이미 마음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장군은 며칠 고심하다가 한 여사에게 전화를 걸었다. 긴장한 목소리로 “좀 나와 주시오. 오늘은 한복을 입지 말고 양장을 하고 와요”라고 부탁했다. 평소 한복을 입던 한 여사는 영문도 모른 채 양장 차림으로 미국대사관 앞에 갔다. 큰 키의 위트컴 장군은 허리를 숙여 한 여사를 굽어보면서 말했다. “나와 결혼해 주시오.…”
두 사람은 그렇게 부부가 됐다. 한 여사는 장군을 만나면서 장군의 인류애에 존경을 느껴왔다. 한 여사가 남편 대신에 ‘우리 장군’이라는 호칭을 썼다. 한 여사는 생전에 국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장군과의 인연에 대해 “지금 생각해 보면 좋은 일과 나쁜 일은 없는 거 같아요. 그때 불행이 없었으면 장군과 결혼하지 못했을 거예요. 장군께서 전쟁고아를 위해 활동하는 저를 쭉 예쁘게 보신 거 같아요”라고 회상했다.
한 여사는 장군과 결혼으로 친정 가족과 생이별해야만 했다. 당시로서는 이혼이 드문 데다 외국인과 재혼하자 가족들은 여사와의 연락을 끊었다. 두 사람 사이에 태어난 자녀는 없다. 위트컴 장군은 한 여사가 데려온 1남 1녀를 끔찍이 사랑했다.
한 여사가 2017년 1월 1일 별세한 뒤 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 위트컴 장군 묘역에 합장됐다. 장군은 1982년 7월 12일 별세한 뒤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유일한 미군 장성급이다. 장군과 부인 한 여사는 부산에서 같이 영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