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트 품허를 불허했던 식충처 수장인 오유경에게
ㄱ ㅐ 망신을 줘야합니다!!
향후 정계 진출을 막아야!!
국감장 앞에도 대기업에는 한없이 관대하면서 중소 바이오 기업의 말살 정책을 펴고있는 식충처(+누가 심사해도 품목허가 불허라고 말했던 약심위원장 오일환)의 오씨 카르텔에 대한 근조화환 100개~~~
#식충처장(오XX)과 약심위 위원장(오XX)에 대한 검찰 조사가 필요하다!!
학자 카돌릭대 오일환씨! "조인트 불허, 누가 심사해도 같은 결정"?
FDA 전 심사관이셨던
서울대 약학대학 이장익 교수, 일본유전자세포치료학회서 조인트스템 임상적 유효성 발표
일본 요코하마에서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제30회 일본 유전자 세포치료학회(Japan Society of Gene and Cell Therapy)’에서 중증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임상적 유효성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네이처셀은 학회 첫날인 16일, 일본 유전자 세포치료학회(회장: 토다 마사히로) 초청으로 참석한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장익 교수팀이 ‘무릎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조인트스템의 유효성’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장익 교수는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조인트스템 1상, 2상 및 3상 임상시험 결과와 3년 추적관찰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에 따르면 3상 임상시험에서 유효성 1차 평가변수인 VAS와 WOMAC에서 모두 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3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3년 추적관찰 결과에서도 대조군 환자들은 8명이 인공관절치환술을 시행한 반면, 조인트스템을 투여한 환자 군은 단 2명만이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아 조인트스템이 3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장익 교수는 ‘조인트스템 유효성이 확실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장익 교수는 “조인트스템 임상결과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 인공관절치환술 등 수술적 치료를 예방할 수 있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 미충족 수요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