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책 주요 골자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강화
△배터리 안전성 확보
△중장기적 전기차 화재 예방‧대응방안 마련 등
먼저 전기차 제작·운행의 전 과정에 걸쳐
정부 관리체계를 강화한다.
내년 2월 예정이었던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를
올해 10월로 앞당겨
시범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 대국민 배터리 정보공개는
배터리 제조사와 제작기술 등
주요 정보까지 의무적 공개한다.
공개항목은
(현행) 배터리 용량, 정격전압, 최고 출력
+ (추가) 셀 제조사, 형태, 주요 원료 등이다.
전기차 정기검사 시
배터리 검사항목을 대폭 늘리고,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는
물론 민간검사소까지
전기차 배터리진단기 등 검사 인프라를 확충한다.
현행 고전압 절연 항목에 추가해
셀 전압,
배터리 온도·충전·열화 상태,
누적 충·방전 등이 더해진다.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내년 2월부터 시행한다.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대한 활용성을 늘린다.
BMS에는
실시간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감지‧경고하는 기능이 탑재됐다.
우선 현대차·기아 등
주요 전기차 제작사는
BMS 안전기능이 없는
구형 전기차에는 무료 설치를 추진하고, 이미 안전기능이 설치된 차량은
무상으로 성능을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운전자가
배터리 이상징후를
적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주요 제작사는
BMS 연결·알림 서비스
무상제공 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고
자동차 보험료 할인과
홍보 캠페인을 통해 전파한다.
또 정부는
올해 안에 BMS 배터리
위험도 표준을 마련하는 한편,
내년 상반기부터는
자동차 소유주가
정보제공에 동의한 차량을 대상으로
위험단계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소방당국에도 알리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