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해 연골이 닳아 없어져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 국내 60세 이상 남성의 약 20%, 여성의 약 50%가 앓고 있다. 고령화 사회 가속화에 따라 증가세도 가파르다. 더욱이 과도한 운동이나 비만으로 인해 걸릴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해 점차 유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 인구의 약 7.6%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다만 진통제를 먹거나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아 일시적으로 염증이나 통증을 가라앉히는 게 치료의 대부분이다. 이밖에도 관절 사이에 일시적으로 윤활제 역할을 하는 히알루론산 주사가 있지만, 주기적으로 주사를 맞아야 해서 번거롭다.
이에 국내 바이오 전문 기업 넥스트바이오메디컬과 오브이메디 등이 새로운 관절염 통증 치료에 도전하고 있다. 이들은 향후 1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절염 치료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양사 모두 세계 첫 기술을 앞세운 만큼, 앞으로 어떤 업체가 시장을 선점할 지 바이오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코스닥 상장사인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골관절염 통증 색전재 넥스피어 에프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획득했다. 회사가 만든 넥스피어 에프는 골관절염 통증 색전재다. 관절에 통증을 유발하는 비정상적 혈관에 색전재를 주사, 해당 부위를 괴사시키는 치료재를 의미한다.
해당 시술을 처음 제안한 건 일본의 유지 오쿠노 박사지만, 이를 시판 제품으로 처음 만들어 낸 것은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다. 이에 FDA서 드 노보 승인 과정을 밟게 됐다. 드 노보 승인은 해당 기술로서는 최초 승인이라는 의미가 있다.
넥스피어 에프의 성분은 생분해되는 속효성 미립구로,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세포를 괴사 시킨 후 2~6시간 내에 분해된다. 분해되지 않는 다른 제품에 비해 피부 변색과 괴사 등의 부작용을 극복했다는 평도 받는다. 특히 회사는 일본에서 8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우수한 통증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입장이다.
회사에 따르면 근골격계 통증 완화 등 넥스피어 에프와 관련된 글로벌 시장 규모만 약 3조6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미국 승인을 계기로 향후 미국 시장에 본격적인 진입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추가적인 비즈니스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마케츠앤마케츠에 따르면 2020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은 73억달러(약 10조원) 수준이었으나, 내년엔 약 110억달러(약 15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항노화 트렌드에 힘입어 퇴행성 골관절염 시장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