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로리툼 장기 투자

하이드로리튬(101670)

11달전

조회 32

공감 1

비공감 4

하이드로리튬 차트

현재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계획에 가장 앞서 있는 삼성SDI의 로드맵이 지난 7월에 발표 되었죠.
전기차 캐즘으로 침체되어 있는 이차전지 시장에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이차전지 투자자들에게는
희망적인 메시지였습니다.

전고체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 황화리튬(포스코홀딩스, 레이크머티리얼즈, 이수스페셜티케미칼,정석케미칼) -- 고체전해질(에코프로베엠등)---배터리셀 (삼성sdi등) 으로 이어지는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밸류 체인입니다.

전고체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을 누가 공급하는가로 부터 시작됩니다.
현재까지 전고체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을 적은양이라도 생산하고 판매한 회사는 어디일까요?


○○
전기차용 배터리는 삼원계, 반고체, 전고체 순으로 기술발전이 진전되고 있고 앞으로 5-6년 뒤인 대략 2030년 정도 되면
전고체 배터리가 대세가 될 것인데 그때는 대부분 전기차로 전환되는 시대에 살게되면서 리튬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탄산리튬, 배터리급 고순도수산화리튬, 전고체용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과 실제 생산 능력을 보여준 기업은 연간 3600톤 생산이 가능한 전웅 박사의 금산의 리튬플러스 입니다.

이것만으로 앞으로 전기차 시대 리튬 수요에는 턱없이 부족하게 때문에 새만금에 5만톤 하이드로리튬 공장을 짓게 된 것이고 이후 글로벌 30만톤까지 확장 계획을 하고 있다는 군요.


○○○
하리 주가가 6만원까지 올라갔다가 3천원대로 떨어진 것에 대해 비판을 합니다.
하리 뿐만 아니라 대부분 이차전지 기업들이 23년 여름 전고점에 비해 몇배씩 하락을 했습니다.

하리 주가가 6만원까지 간 것은 작전주 성격에다 불붙은 광기어린 이차전지 투자 붐에 힘입은 것이지 실적에 의한
정상적인 주가는 아니었다는 것은 모두 알 것입니다.

하리 주가는 지금 3천원대 부터가 시작입니다.

3분기에 있을 것이라는 대형 계약과 볼리비아,튀크키예 염호 개발, 일본과 중국등 수출 계약등이 이루어지면서
시장의 신뢰를 얻고 새만금 공장이 다시 진행된다면 주가는 크게 반응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찬티등 안티로 돌아섰든 하리 주가에 대해 기대하는 앞으로 일들은 2027년과 2030년 사이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전웅 대표가 잘 이겨내어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기다려온 그리고 앞으로 더 기다릴 주주들에게도 큰 보답을 해주리라 믿습니다.



○○○○
주식투자는 쉽지 않습니다.

단타로 운 좋으면 돈을 많이 벌 수도 있지만 그만큼 금새 다 잃어버리는 곳이 주식 시장입니다.

성장 가능성 있는 기업을 골라 꾸준히 흔들리지 않고 장기투자 만이 성공의 길입니다.

하리가 내년에 상폐 될 것이고 모든 것이 다 거짓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다른 좋은 기업에 투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든 선택과 책임은 본인의 판단에 따를 뿐 입니다.

그 누구도 강요하지 않습니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하이드로리튬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