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기침체 우려 부각 기술주도 각종 악재 겹쳐 중동 불안, 일본 금리 인상, 중국 경기 둔화 등도 부정적 글로벌 증시에 악재가 겹쳤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2개국(G2) 경기 우려에다 인공지능(AI) 거품론 및 중동 불안에 일본 금리 인상까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연이은 신고가 행진이라는 달콤함 속에 빠져 있던 증시 투자자들은 불편한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공포 지수라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지난 2일(현지시간) 장중 29를 상회하며 2022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S&P)500 주가지수 옵션에 내재된 가격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수치가 높을수록 향후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하락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방증하듯 이날 세계 주요 증시는 일제히 급락하며 검은 금요일을 연출했고, 반면 금과 미국채 등 안전 자산들이 강세를 보였다. 이날 미국 고용 지표가 예상치를 크게 밑돌며 경기 침체 우려를 부추긴 것과 함께 그동안 증시 상승을 이끌던 AI 기술주들의 악재가 겹친 영향이 컸다. 특히 작년부터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끈 매그니피센트7(마이크로소프트·애플·엔비디아·구글·아마존·메타·테슬라)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AI 인프라 투자 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며 실적 우려를 낳았고, AI 대장주 엔비디아는 신제품 출시 연기 소식과 미국 당국의 반독점 조사 악재까지 더해졌다. 악재는 더 있다. 중동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면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아시아에서는 지난 주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4개월 만에 금리를 인상했다. 이는 저리에 엔화 자금을 빌려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글로벌 투자은행 ING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일본의 국경간 대출 규모는 157조엔(약 145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자금의 청산이 본격화하면 글로벌 금융 시장 전체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수 있다. 세계 경제 2위 중국의 상황 역시 좋지 않다. 부동산 위기가 끝나지 않은 가운데 5% 안팎의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 달성에 빨간불이 켜진 중국은 각종 소비 진작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 와중에 주말 동안에는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2분기 중에 보유 애플 지분 중 약 절반을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에 경계 심리를 더했다. CNBC 등 외신들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는 대신 현금 보유량이 사상 최대인 2769억 달러(약 376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핏은 지난 5월 버크셔해서웨이의 주주 총회에서도 "우리는 돈을 지출하고 싶지만, 만일 (어떤 기업이) 리스크가 매우 낮고 우리가 돈을 많이 벌 수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면 돈을 쓰지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투자에 신중한 모습을 나타냈다. 전세계 증시가 폭락 나오는데 이차전지만 폭등랠리 나올거라는 게쳐물린 찬티들 진짜 게얼탱이가 없음 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