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두산에너빌리티와 함께 차세대 전투기 엔진 개발에 나섰다. 두산이 엔진에 들어가는 터빈을 제작하면 한화가 여기에 핵심 부품을 덧붙여 전투기 엔진으로 최종 조립하는 방식이다. 개발에 성공하면 한국은 세계 일곱 번째로 자체 전투기 엔진 보유국이 된다.
1일 방위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와 두산은 최근 국방과학연구소(ADD)가 발주한 첨단엔진 개발 관련 ‘개념설계’를 마무리하고 조만간 ‘기본설계’에 들어간다. 개념설계 과정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 등이 검증된 만큼 본격적인 연구개발(R&D)에 나선다는 의미다. 두 회사는 방위사업청과 함께 10년간 최소 3조원을 들여 추력 1만5000파운드급 엔진을 개발한다. 지난달 생산에 들어간 한국형 전투기인 KF-21 엔진과 같은 급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투기 엔진 개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항공기 엔진 부품 제조 노하우를 가진 한화와 가스터빈 개발 기술을 보유한 두산이 손잡아야 한다는 정부 제안을 두 회사가 받아들인 것”이라며 “엔진 개발에 성공하면 사실상 차세대 전투기를 독자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전투기 부품은 국산화가 완료된 만큼 엔진만 손에 넣으면 독자 개발 전투기 생산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항공 엔진을 독자 개발한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 등 6개국뿐이다. 전투기 엔진으로 전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주요국이 전략자산으로 지정해 핵심 기술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서다. 민간 기업으로는 미국 프랫앤드휘트니(P&W), 제너럴일렉트릭(GE), 영국 롤스로이스PLC 등 세 개 업체가 세계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엔진 기술 확보는 한국 방위산업 포트폴리오가 전차, 미사일, 잠수함에 이어 전투기로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한화, 전차 이어 항공엔진 독립 승부수…글로벌 150兆 시장 뚫는다
GE·P&W·롤스로이스PLC 과점…허가 없이는 K전투기 수출 불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력 제품인 ‘K9 자주포’를 수출할 때마다 독일 눈치를 봐야 했다. K9 자주포에 장착된 MTU 엔진이 독일의 ‘국가 전략자산’으로 지정된 까닭에 자주포를 수출할 때마다 독일 허락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2020년 아랍에미리트(UAE)와 도장을 찍기 직전까지 갔던 수출 계약이 무산된 것도 독일의 어깃장 때문이었다.
이를 갈던 한화는 지난 2월 1000마력급 전차용 엔진을 독자 개발하는 데 성공해 K9 자주포에 장착하기 시작했다. 이제 K9 자주포를 수출할 때 독일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다.
○기술 독립 나선 한화에어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전차 엔진에 이어 전투기 엔진도 독자 개발에 나섰다. 한화는 현재 제너럴일렉트릭(GE) 등이 만든 설계도 등을 토대로 항공기 엔진 핵심 부품을 제조하고 있다. 45년 동안 이 분야에 몸담은 만큼 상당한 노하우를 쌓았지만 아직 독자 설계 능력은 갖추지 못했다.
한화가 전투기 엔진에 들어갈 터빈 분야 실력자인 두산에너빌리티를 파트너로 맞이한 이유다. 두산이 2019년 세계 다섯 번째로 개발한 가스터빈은 국내 여러 화력발전소에 들어서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투기 엔진은 응축된 공기에 연료를 태워 터빈을 돌린다는 점에서 가스터빈 발전 방식과 유사하다”며 “정부와 한화가 두산의 가스터빈 기술을 높이 산 이유”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