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번. 롯데손보 주가는 왜 폭락했나?

롯데손해보험(000400)

1년전

조회 375

공감 1

비공감 0

롯데손해보험 차트
롯데손보 주가는 왜 폭락했나 [황정원의 Why Signal]
입력2024.06.29. 오전 6:02 수정2024.06.29. 오전 10:59 기사원문

우리금융 "인수 추진 않기로" 오후 1시 공시
하루에 시총 2800억 증발, 4월5일 이후 최저가
MBK 메디트 인수처럼 깜짝 원매자 등장할까
[서울경제] 이 기사는 2024년 6월 29일 00:00 자본시장 나침반 시그널(Signal) 에 표출됐습니다.

롯데손해보험 매각 본입찰이 있던 지난 28일 장 초반, 전반적인 보험주 강세에도 롯데손보는 4.33%(165원) 하락한 3650원에 거래됐다. 우리금융그룹이 동양생명·ABL생명 인수를 추진하면서 손해보험사에서 생보사로 눈을 돌렸다는 관측 때문이다. 오전 11시30분경 우리금융이 철회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주가는 3200원대까지 내려갔다.

우리금융지주는 오후1시경 롯데손보 인수전에서 철수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우리금융은 "비은행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롯데손해보험 지분 인수를 검토하였으나, 인수를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예비입찰 후 실사까지 진행했지만 철회하는 결정을 내린 것.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오후1시6분, 3100원대로 떨어졌고 3000원대(오후1시21분)로 내려가는 데는 15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다시 27분이 지나서는 2975원(오후1시48분)까지 추락했고 이후 2900원대를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23.59% 폭락한 2915원에 장을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9046억 원으로 하루 만에 2793억 원(직전일 1조1839억 원)이 사라졌다. 지난 4월5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결국 주가가 급락한 건 우리금융의 공시가 직격탄이 됐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통상 인수합병(M&A) 관련 사안은 주가에 민감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장 종료 후에 공시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29일 “조회 공시에 답할 의무가 있더라도 장 중에 한 것에 시장이 과한 반응을 보였다"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우리금융 관계자는 “투자자 혼란이 없도록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려고 입찰 마감 이후 공시를 했다”고 설명했다.

롯데손보 지분은 최대주주인 JKL파트너스(77.04%)와 호텔롯데(5.02%), 우리사주(1.93%), 기타 소액주주로 구성돼 있다. JKL파트너스는 2019년 3700억 원에 지분 53.49%를 사들인 뒤 36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77.04%까지 지분율을 확대했다.

이번 본입찰에는 국내 금융지주사 없이 외국계 투자자 1~2곳이 참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측은 원매자의 제시 내용을 분석한 뒤 후속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일반적으로 M&A 과정에서 새로운 원매자가 등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22년 메디트 본입찰에는 GS그룹·칼라일,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블랙스톤 등 글로벌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하지만 우협 지위에 오른 GS·칼라일 컨소시엄과 UCK파트너스(구 유니슨캐피탈)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MBK파트너스가 깜짝 등장해 우협에 선정됐고 협상은 급물살을 탔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손보는 보험사 중 마지막으로 남은 괜찮은 매물"이라며 "민간 딜은 문이 닫힌 게 아니므로 하나금융·신한금융 등의 국내 금융사 또는 새로운 투자자가 나타나는 옵션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황정원 기자(garden@sedaily.com)
기자 프로필
서울경제
황정원 기자
황정원 기자
구독
구독자 1,319
응원수 1,319
1%의 시선으로 바라보겠습니다


















































새로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함께 볼만한 프리미엄 유료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서울경제숏폼
안내
재생시간01:45
[24년 6월 29일(토) 서울경제 증권면 퀵뷰]

22시간전

재생시간00:55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Z세대 미래에 어떤 영향을?_폴리톡_FOMO News_서울경제 설기자

1일전

재생시간00:40
3D 프린팅 전문가_Z세대의 창의력을 3D로_퓨처잡_서바이벌 경제용어

17시간전

재생시간01:45
[24년 6월 29일(토) 서울경제 금융면 퀵뷰]

22시간전

재생시간00:41
설공이의 경제사전 [고급] - 그리스 문자

17시간전

재생시간00:45
저는 재벌 아닌데요, 상속세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상속세 #민주당 #아파트

2시간전

재생시간00:58
광화문 한복판에서 볼 수 있는 박정희 손글씨

1일전
로그인 전체서비스
서비스안내 오류신고 고객센터
기사배열 책임자 : 김수향 청소년 보호 책임자 : 이정규
각 언론사가 직접 콘텐츠를 편집합니다. ⓒ 서울경제
이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작권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NAVER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롯데손해보험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