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바이오홀딩스는 바이오가스 직접 생산자 입니다. 거기서 수소도 뽑아 냅니다.
“유기성 폐자원 활용해 재생E 생산”…정부, 바이오가스 산업 키운다
내년부터 공공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 50% ‘바이오가스’ 전환 연간 2300억원 규모 ‘화석연료’ 대체해 온실가스 100만t 감축 기대
2024-06-20
정부가 ‘바이오가스 산업’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공공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음식물 등 유기성 폐자원 50%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연간 2300억원의 화석연료를 대체해 온실가스 100만t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리는 ‘제4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가축분뇨·음식물 등 유기성 폐자원의 친환경적 처리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을 보고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전략은 지난해 12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의 시행으로 국내 바이오가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번 전략으로 오는 2026년까지 바이오가스를 연간 최대 5억N㎥를 생산해 연간 ▲유기성 폐자원 연 557만t 처리 ▲2300억원 화석연료 대체 ▲온실가스 100만t 감축 등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를 추진한다.
바이오가스 법령이 제정됨에 따라 공공은 내년부터, 민간은 2026년부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가 각각 부여된다.
지난해 12월에 전국 바이오가스 생산 규모를 고려해 2034년까지 공공은 50%, 민간은 10%로 목표가 설정됐으며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또한 원활한 제도 시행을 위해 이해관계자 대상 설명회를 지속 추진하고, 바이오가스 시설 현장조사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합리적인 세부 운영 기준을 마련한다.
특히 바이오가스 직접 생산뿐 아니라 위탁생산 및 거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통합 바이오가스화 생산 인프라도 확충한다.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성을 높이도록 2종류 이상 유기성 폐자원을 동시 투입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통합시설 설치 확대를 위해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유기성 폐자원 투입 비율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하는 복잡한 보조율 방식을 단순화하는 등 제도를 개선한다. 내년부터는 민간 의무 생산자도 지원한다.
이밖에 동식물성 잔재물 등 그간 바이오가스로 생산되지 않던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기 위한 실증사업 및 통합 바이오가스화 기술 고도화를 위해 ▲공정 효율성 향상 ▲생산 가스 고부가가치 전환 ▲잔재물 부가가치 확대 등 연구개발(R&D)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수요처 다각화에도 나선다.
바이오가스 생산자가 도시가스와 인근 수소 생산시설 등의 수요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1만N㎥에서 30만N㎥로 늘린다.
바이오가스 신재생에너지 가중치도 재검토한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도 연내 4개까지 확대한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추진 등 사업화 방안을 마련해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생산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최근 선박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청정 메탄올 생산에 바이오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모델도 발굴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인 바이오가스 활성화를 위해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키워나갈 수 있는 전략으로서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시행과 생산시설 확충 지원, 수요처 다각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으로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