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 핵심소재 전량 수입대체,국내 독점 공급

백광산업(001340)

1년전

조회 327

공감 6

비공감 0

백광산업 차트
중국산 소재를 사용하여 미국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IRA법에 저촉되어 국내 전해질 생산업체들은 백광산업의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PCl3와 PCl5는 이차전지 전해질염 원재료다. 전해질염은 이차전지 4대 소재 중 하나인 전해액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조성물로 육불화인산리튬(LiPF6)으로 구성된다. LiPF6를 만들기 위해선 PCl3와 PCl5가 필수적이라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꼽힌다.

지금까지 PCl3와 PCl5는 전량 중국 수입에 의존해왔다. 소재 공정 난도가 높고 국내 공급망이 갖춰지지 않은 탓이다. 제품 조달 방법은 수입이 유일하지만, 수명은 2주~1개월로 짧아 장기간 보관이 여의치 않다는 한계도 있었다.

백광산업이 PCl3·PCl5 국산화에 나서는 건 배터리 소재 공급망 안정화 포석이다.
엔켐 등 전해액 업체가 새만금에 LiPF6 공장을 설립하는 등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국내 공급망 구축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
새만금 공장은 2025년 1분기부터 PCl3와 PCl5를 연간 1만5000톤 규모로 양산할 계획이다. 추후 시황과 고객사 주문량에 맞춰 생산 능력을 최대 10만톤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중국 의존도를 낮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전략도 백광산업 투자를 이끌었다. 백광산업이 새만금에서 PCl3·PCl5 양산을 본격화하면 중국 수입의 상당량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광산업은 새만금 투자로 사업 저변을 넓힐 계획이다. 주력 사업은 기초화학과 염소(Cl2) 등 반도체 특수가스였지만, 중장기적 성장성이 높은 이차전지 영역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는 복안이다.

회사는 새만금 공장에서 반도체용 소재도 생산할 예정이다. 앞서 회사는 지난 10월 충남 예산에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소재 공장 신설을 위해 3304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새만금에서도 생산이 이뤄진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백광산업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