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금융위 부원장 김소영) "공매도 금지 일시적…시장공정성 강화 위한 한시적 조치"

에코프로(086520)

1년전

조회 102

공감 6

비공감 1

에코프로 차트
■ 뼈속까지 불법적 무차입 공매도 지원세력인 너 "금융위 부위원장 김소영" 말 잘했다.

◇ 너의 직속 상관인 "가짜 금융위원회 위원장 김주현"은 공매도 세력 및 현 공매도 제도를 옹호하다가 한방에 집에 간 사실을 잊지말기를 바란다.

◇ 뼈속까지 공매도 세력과 한편인 "금융위(부위원장 : 김소영) 및 금감원(금감원장 : 이복현) 대장 및 직원놈들"은 "공매도 제도 개선 정책(안) 똑바로 만들어라. 또 증권거래소 대장과 직원놈들도 똑바로 해라.

◇ "덜 민주당"도 최고의 증권통 홍성국(지역구 : 세종특별시), 이용우(지역구 : 고양시) 등을 투입하여 뼈속까지 검은머리 공매도 세력 5인방의 최대 지원 세력인 "가짜 금융위(부위원장 : 김소영) 및 금감원(원장 : 이복현검사)" 등 재경부 모피아와 검찰 특수부 등의 불법 카르텔이 작성해서 발표하는 무차입 등 "불법 공매도 제도 개선(안)"을 신속하게 잘 파악하여 수정해서 내년 4월 총선 전에 국회에서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라. 덜 민주당도 국힘당 실수에 덕볼 생각은 잊고 실력을 보여줘라. 그래서 1,400만 개미투자자들은 아직까지는 용산및국힘당을 응원하는 것 같다. 느그들은 윤석열 정부의 "공매도 제도 개선(안)에 대하여 어떤 말도 하지를 않고 있다. 지금 처럼 아니 덜 민주라는 당명 처럼 미적 미적 대다가 내년 4월 총선에서 한방에 훅 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이 건은 강서구청장 보궐 선거와 천양지차가 있다. 1,400만 개미투자자들 모두가 당사자가 되어 돈(증권 투자 자금)이 걸린 문제라고 알고 있거라. 진심으로 공정하게 행동하고 노력하기를 바란다.

사실 이 공매도 건은 간단한 외통수 방법이 있는데, 바로 상장사가 배당금이 아닌 주식배당을 하거나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이전 상장하면 단 한방에 흉칙한 공매도 세력은 완전 섬멸할 수 있다.

정부나 국힘당 등에서 이런 정책을 실시하면, 틀림없이 공매도 세력으로부터 Shot Covering이 나오기 때문이다.

미적거리는 것이 주특기인 "덜 민주당"은 4월 총선에서 한방에 간다.

◇ 1400만 개미투자자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하게 "공매도 제도 개선 요구"가 아니고, 공정한 룰(Fair Rule)을 "Grobal Standards" 정도로만 개선하라 것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규정(Rule)" 정도로만 개정하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 니들이 새로 만든 "공매도 제도 개선(안)"을 보고서 나서 1,400만 개미투자자들은 내년 4월 총선에서 투표할 것이다.

- 가짜 금융위 및 금감원 대장급 니들은 이미 "S 증권"에서 무차입 공매도로 발각된 "Ecopro그룹 이동채 회장 보유 주식" 일부가 매각된 사실을 적발하고도 처벌하지 않는 것을 해명하라.

어떻게 교도소에 수감된 "Ecopro그룹 이동채 회장"이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해봐라.

요즈음 교도소에서는 수감자들에게 "개인 Smart Phone"을 가지고 들어가서 마음대로 주식투자할 수 있도록 수감규정이 변경된 사실이 있는가.

법무부 장관에게 물어야 하는가?

설령 "재소자의 수감규정"이 바꿔져서 교도소에서 주식거래를 할 수 있다고 해도 "에코프로 그룹 이동채 회장"이 무엇 때문에 자기 지분 주식을 매각할까. 또 주식매각 대금은 찾지 않고 그냥 주식거래 계좌에 현금으로 보유 중이라고 하더라. 왜 주식매도를 친 이유를 설명해 봐라.

- 느그들은 해킹을 당해서 그렇다고 설명한다고 하더라.
- 금감원 주식시장을 Mnitoring하는 직원놈들은 눈깔이 없냐. 왜 증권사 HTS에서 공매도 세력의 업틱룰 위반사항을 적발하지 않는가?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최근 단행한 공매도 금지 조치가 제도 개편을 위한 한시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1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단행한 일시적 공매도 금지 조치는 개인투자자의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주식시장의 공정성 강화, 선진화와 맥을 같이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매도 금지를 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으로 금감원 조사 결과 밝혀진 대규모 무차입 공매도의 관행적인 반복을 들었다.

김 부위원장은 "만연한 불법 무차입 공매도는 주식시장의 공정한 가격 형성을 저해하고,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도를 급격히 하락시킬 수 있는 엄중한 사안"이라며 "관행적인 불법행위를 묵인하고 단순한 일탈로 치부하여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한국 경제·기업의 가치와 성장성을 믿고 투자한 선량한 다수 투자자가 피해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본시장 선진화에서도 멀어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무차입 공매도는 한국은 물론 해외 주요국에서도 금지하고 있는 거래"라며 "우리 자본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해외 투자자, 시장의 건설적인 조언을 듣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에코프로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