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공세.中 전기차, 석달째 국내 수입액 1위

바이오니아(064550)

1년전

조회 259

공감 1

비공감 1

바이오니아 차트
중국 가격 경쟁력 전기승용차,버스 한국활보

테슬라 바람 탄 중국 전기차, 독일 제치고 韓 수입 1위
이석주 기자입력 2023. 11. 26. 14:31
중국, 최근 3개월 연속 전기차 수입 1위
테슬라가 중국서 제작한 모델Y 호조 때문
반면 한국의 대중국 자동차 수출은 미미

중국이 독일을 누르고 우리나라 전기차 수입 1위 국가로 부상했다.

2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중국 전기차 수입액은 1억72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독일 전기차 수입액(7000만 달러)보다 배 이상 많은 액수다.

지난 8월 중국이 월간 기준 사상 최초로 독일을 제친 데 이어 3개월 연속 ‘전기차 수입 1위’를 이어간 것이다.

이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중국에서 제작한 ‘모델Y’, 일명 ‘중국산 테슬라’ 수입이 올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데 따른 결과다.

앞서 테슬라는 지난 9월부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해 가격을 2000만 원가량 낮춘 중국산 모델Y를 국내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 9월 테슬라의 국내 판매는 4501대로 전월(696대)보다 6.5배 급증했다.

‘중국산 테슬라 바람’이 국내 시장을 강타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버스와 트럭 등 국내 상용차 시장에서도 중국 토종 전기차 업체들이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특히 1t 미만 상용차인 다마스와 라보가 단종되면서 이 자리를 중국 전기 화물차가 빠르게 채웠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신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산 전기 화물차 판매는 2300여 대에 달했다.

중국 자동차 지리(Geely)의 1t급 전기밴 ‘쎄아’(SE-A)만 해도 지난 6월 출시 이후 600대 넘게 팔렸다.

반면 한국의 대중국 자동차 수출은 미미하다.

우리나라는 2011년만 해도 중국과 자동차 교역에서 23억 달러 흑자를 냈다.

하지만 이후 흑자가 계속 축소되다가 2017년부터는 줄곧 적자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4억7000만 달러 규모이던 대중국 자동차 무역 적자는 올해 1~10월 이미 8억 달러(약 1조400억 원)에 달했다.

‘저가 공세’ 中 전기차, 석달째 국내 수입액 1위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3-11-27 03:00:00

LFP 배터리 탑재 가성비 앞세워
中 생산 테슬라, 2000만원 이상 싸져
상용차도 상위 10개 모델중 6개 차지

최근 3개월간 중국산 전기차가 독일, 미국을 제치고 국내 수입액 1위를 지키고 있다. 테슬라 ‘모델Y’ 등 가격을 대폭 낮춘 중국산 전기차의 인기가 국내에서 점차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2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10월 한국의 전기차 수입액은 총 19억4500만 달러(약 2조54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3% 늘었다. 국가별로는 독일(7억8800만 달러), 중국(5억3800만 달러), 미국(4억5900만 달러) 순이다.

최근 3개월로 좁히면 중국산 전기차가 최대 수입국으로 올라선다. 7월 수입액은 미국(6300만 달러), 독일(2600만 달러), 중국(1800만 달러) 순으로 중국이 3위였다. 하지만 8월에는 중국(1억5100만 달러)이 1위를 차지했고 독일(7700만 달러), 미국(2800만 달러)이 뒤를 이었다. 9월과 10월에도 중국산 전기차는 각각 1억1700만 달러, 1억7200만 달러어치가 수입돼 독일과 미국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중국 전기차 수입액은 7월에만 하더라도 미국의 7분의 2 수준이었는데, 10월에는 미국의 17배를 넘어섰다.

8월부터 중국 전기차 수입액이 급증한 데는 중국산 테슬라 모델Y 후륜구동(RWD) 영향이 컸다. 이 차량은 7월 중순부터 국내에 출시됐다. 중국 상하이에 있는 테슬라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된 이 모델은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해 기존 모델 대비 2000만 원 이상 싸다. 국내 전기차 보조금을 합치면 4000만 원대에도 구매할 수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9월 기준 테슬라 모델Y는 4206대가 팔려 전기차는 물론이고 가솔린과 디젤 모델까지 수입차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 모델Y 롱레인지 모델은 3대, 퍼포먼스 모델은 1대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모두 저렴한 RWD 모델이었다. 모델Y에 이어 많이 팔린 수입차는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3511대, 볼보 ‘XC60’이 899대로 나타났다.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산 전기차 모델의 국내 시장 장악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폴스타의 전기차 ‘폴스타2’가 지난해 2794대 판매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버스와 트럭 등 국내 상용차 시장도 중국 전기차 업체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 상용차 1위 모델은 중국 지리의 소형 전기 화물차 ‘쎄아’였다. 상위 수입 상용차 10개 모델 가운데 6개가 중국 브랜드인 것으로 집계됐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바이오니아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