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화 유력 후보군 GX-E4…주력

제넥신(095700)

1년전

조회 271

공감 4

비공감 2

제넥신 차트

제넥신,지분매각 1000억 확보…빈혈·성장호르몬 치료제 상용화 임박

제넥신이 빈혈 및 성장호르몬 치료제 등 핵심 파이프라인에 대한 후기임상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제넥신은 합작사 아지노모도제넥신의 지분 178만5000주(25%)를 193억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보도자료를 통해 매각사유에 대해 R&D를 위해서라는 분명한 지향점을 밝혔다. 서울 마곡에 294억원 규모의 R&D센터를 신규투자 한다고 공시했지만 합작사 지분매각과는 연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제넥신 대표이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합작사 지분매각은 주주가치가 희석되지 않는 자금 확보"라며 "후기 단계에 있는 파이프라인 개발을 늦추지 않으면서 주주가치를 지키는 전략적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상업화 유력 후보군 GX-E4…주력

상업화를 위해 주력하는 파이프라인은 4가지로 압축된다. △장기 지속형 성장 호르몬 치료제 후보물질 GX-H9 △빈혈치료제 후보물질 GX-E4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X-I7 △자궁경부암 치료제 후보물질 GX-188E이다.

이 가운데 상업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건 GX-E4다. 관계사 KG바이오와 공동으로 개발하는 바이오베터로 기존 치료제보다 약효 지속 기간을 늘린 게 특징이다. 아시아 7개국에서 비투석 만성신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국제신장학회(WCN2023)에서 임상 3상 중간 결과를 공개, 글로벌 제약사 로슈의 신성빈혈 치료제 미쎄라 대비 비열등성을 확인했다. 비열등성은 시판 치료제보다 약효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필수 관문이다. 연내 임상 3상을 마무리하고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품목허가신청(BLA) 절차에 돌입한다는 게 제넥신의 목표다.

GX-H9 역시 유력 상업화 후보군으로 꼽힌다. 2012년부터 10년간 한독과 공동 개발해 온 후보물질이다. 1세대 호르몬 치료제보다 투여 간격을 줄이고 키 성장 효능을 높였다. 관계사 아이맵 바이오파마를 통해 임상 3상에 돌입했다. 올해 안으로 임상을 끝내고 중국 시장부터 공략한다는 구상이며 상용화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제넥신 관계자는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파트너사를 통해 GX-E4와 GX-H9 임상 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GX-E4의 경우 유럽 및 아시아 등에서 임상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제넥신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