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역사와 줄기세포 주사 역사?

네이처셀(007390)

1년전

조회 252

공감 1

비공감 1

네이처셀 차트


수혈검색해보니

헌혈에 관한 모든 것 : 정의, 역사, 종류, 절차, 순서, 자격조건 그리고 헌혈의 장단점
작성일자 2023-07-27 글쓴이 VYOMAKESA

헌혈은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자신의 혈액을 기부하는 인도적 행위입니다. 인공혈액 기술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급한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인류의 다양한 질병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에 필요한 재료를 수급하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헌혈의 정의와 역사, 헌혈의 종류, 절차와 순서, 헌혈을 할 수 있는 자격조건 그리고 헌혈의 장단점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헌혈의 정의 역사 종류 절차와 순서 등 첨부




※ 목차 ・ ・ ・ ・ ・ 펼치기
헌혈의 정의와 역사

1. 헌혈의 정의
헌혈의 장면
출처: 포항세명기독병원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혈액이나 각종 의료용 필요에 사용될 혈액을 아무런 대가 없이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자로는 바칠 헌獻 字를 써서 피를 무상으로 주는 것, 기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로도 Blood Donation이라는 직관적인 용어로 사용됩니다.

아무런 대가 없이 주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현재에도 일부 후진국의 경우에 금전을 받고 혈액을 판매하는 매혈 賣血, Selling Blood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혈액관리법 제3조 (혈액 매매행위 등의 금지)와 18조 (벌칙)에 의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매혈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2. 헌혈의 역사
헌혈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헌혈과 수혈은 각기 다른 역사를 가졌다는 것을 먼저 정리하는 것이 옳겠습니다.



수혈 (Blood Transfusion) 즉, 한 생명체의 혈액을 다른 생명체에게 주입하는 행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17세기 동물 실험 기록 등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16세기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 침략자들의 기록에 당시 잉카족이 수혈 행위를 하는 것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과학의 시대 이전부터 수혈이 의료행위로 시행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헌혈 옛날 자료
Richard Lower (1631~1691) (사진출처: ScienceDirect.com) & Blood Transfusion Flashcard (출처: Quizlet)


1665년 2월, 영국의 왕립학회의 의사 리처드 로어 Richard Lower는 혈액순환에 대한 연구와 함께 두 마리의 개로 수혈을 하는 실험을 최초로 성공하였습니다. 이후 프랑스 루이 10세의 주치의 장 밥티스트 데니 Jean-Baptiste Denys는 다양한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성공한 후 1667년 6월, 양의 피를 15세 소년에게 수혈하는 실험을 성공하며 최초의 인간 수혈에 성공하게 됩니다.

이후로도 많은 동물과 사람 간의 수혈 시도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실패로 끝나게 됩니다. 이는 앞서의 수혈 성공이 과학적 근거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혈된 혈액의 양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정도로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추론을 하게 합니다.

추천글 코막힘의 원인과 증상, 예방과 치료・관리법


1818년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 제임스 블런델 James Blundell은 출산 도중 많은 산모들이 출혈로 사망하는 것을 보고 수혈이 적절한 치료법이라는 생각에 일련의 동물실험을 한 후 인간 대 인간 수혈을 시도하게 됩니다.

주사기를 이용해서 환자 남편의 팔에서 4온스의 피를 뽑아 환자에게 수혈에 성공하는 성과를 얻은 후, 5년 동안 10건의 수혈을 시도하였고 5건을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때까지도 인간 혈액형에 대한 개념이 없었습니다. 어찌 보면 이때까지의 성공한 수혈은 모두 운이 좋았던 겁니다.

3 2차대전 혈액은행
칼 랜드슈타이너 & 찰스 리처드 드류 사진. 그리고 2차대전 당시 혈액은행에서 혈액을 전달하는 모습

1901년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이자 의사인 칼 랜드슈타이너 Karl Landsteiner가 ABO 타입의 혈액형 분류 시스템을 개발하고 나서야 제대로 된 인간 수혈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이렇듯 중세 이전부터 이어지는 수혈의 역사와는 달리 헌혈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수혈은 부상당한 병사들을 치료하는데 필수적인 수단이 되었고, 이후 미국의 의사인 찰스 리처드 드류 Charles Richard Drew가 수혈분야를 연구하여 혈액 저장 기술을 발전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 대규모 혈액은행을 통해 수천 명에 이르는 연합군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면서 헌혈 캠페인이 전방위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네이처셀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