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상장 악재 호재 구분 기준을 알려줄게

대동(000490)

1년전

조회 2014

공감 50

비공감 6

대동 차트
가장 중요한 건 추가 상장이 되는 시점을
잘 봐야 돼

매출 영업이익이 줄어든 상태에서 전환사채가
상장하게 이건 무조건 200% 악재인데
거래량이 없이 주가는 장기간 하락을 하게 돼

왜냐 이미 매출 하락으로 주가는 하락중일 것이고 거래량도 대폭줄어든 상태에 있거든 상장당일 큰폭 하락은 없는대신 하락이 길게 간다고
이게 최악의 추가 상장이야 거기다 유동비율이
1.5%이상 물량이 많을 때는 뒤도 돌아보지 말고
바로 매도 손절해버려야돼


호재인 경우는 위 설명과 반대의 경우인데
회사 매출이 역대 최대 성과에 신사업까지
겹치고 주가는 오르는 상황에서 유동비율 1%
미만의 추가 상장을 하면 호재가 돼

왜냐 전환사채 빌려준 투자자는 큰수익을
남겼으니 회사가 다음에 또 유증할 땐
어떻게 되겠어?

케파 증설에 필요한 자금 조달시 채무감소 유보율증가 신용등급 높아짐으로 인해 회사는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 유동성을 또 다시 확보할수있게 되고 신사업 추진에도 가속도가 붙겠지?


주가를 좌지우지하는 세력 외인 기관들은 이시점에서 대동 유동주식의 0.5% 수준은 호재로
여기지 악재가 아냐
악재라고 하는건 단타개미들이 하는 소리일뿐신경 전혀 안써도돼 걱정마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대동 최신 글

1 /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