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급 24개 논문이 입증한 지방줄기세포·PRP 무릎 치료
[건강 기상청] 연세사랑병원 PRP 치료 정형외과 첫 도입… 지방줄기세포+PRP=연골 재생 극대화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23-07-14 10:00:02
‘100세 시대’, 이제 의학 발전의 궁극적 목표는 수명 연장이 아니다. 오래 살되, 죽을 때까지 안 아프고 건강하게 사는 것, 즉 삶의 질이 수명 연장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됐다. 최근 의학계에서 ‘재생의료’가 크게 주목받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재생의료는 손상 혹은 퇴행성질환 등으로 제 기능을 못 하는 신체 기관과 세포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의료기술을 말한다. 이와 관련해 ‘주간동아’는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병원인 연세사랑병원의 자가 지방줄기세포 치료 등 혁신적 재생의료술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연세사랑병원(병원장 고용곤)이 집중 연구 중인 ‘자가 지방줄기세포 치료’가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 병원이 지난 15년간 발표한 24편의 SCI(E)급 관련 논문들이 자가 지방줄기세포 치료의 연골 재생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자가 지방줄기세포 치료는 자신의 둔부나 복부 지방에서 추출한 중간엽 줄기세포(여러 장기나 조직으로 분화 가능)를 손상된 무릎 연골 부위에 주입해 닳아 없어진 연골을 재생하는 시술법이다. 그래서일까.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 치료는 신체 스스로 재생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연골을 다시 살려낸다는 점에서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미래 의학의 핵심 키 역할을 하고 있다(주간동아 1397호 ‘닳은 연골, 자신의 지방줄기세포로 살린다’ 기사 참조).
20여 년 동안 줄기세포와 엑소좀을 연구한 한 과학자가 이 이론을 현실로 이끌려고 한다. 주인공은 홍릉강소연구특구 스타트업 ‘스템엑소원’을 이끄는 조쌍구 대표다.
조쌍구 대표는 건국대학교 줄기세포재생공학과 교수이자 KU융합과학기술원 전임 원장이다. 2022년 한국 줄기세포학회의 학회장이었고 올해에는 이사장을 맡았다. 2003년부터 줄기세포를 연구하던 그는 2006년 일본 신야 야마나카 박사가 발표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논문을 읽는다. 환자의 체세포를 역분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공로를 인정 받은 신야 야마나카 박사는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는다. 이어 2015년에는 줄기세포 엑소좀으로 미국의 한 미식축구 선수의 만성 관절염을 치료한 사례가 나왔다.
2022년에는 줄기세포를 다루는 기업 알토스 랩이 30억 달러, 약 3조 8,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들은 줄기세포 엑소좀의 치료 기술 외에도 리프로그래밍, 우리 몸의 세포를 초기 상태로 돌리는 노화 역전 기술을 연구한다. 줄기세포 엑소좀의 효능과 성장 가능성이 차근차근 밝혀지자, 조쌍구 대표도 20여 년 동안의 연구 경력을 살려 창업을 하기로 결심한다.
~
~
조쌍구 대표는 “스템엑소원은 이미 튼튼한 엑소좀 생산 체계를 만들었다. 환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여건을 만들어 엑소좀의 효용을 널리 알리겠다. 이 성과를 딛고 우리나라의 엑소좀 연구와 신약 개발을 주도하면서 해외 진출도 성공리에 이루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