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일본 성씨 타카나시는 타카나시가 되었을까?

1년전

0

댓글 3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3786536


img/23/11/17/18bd950a93853a413.jpg

아마도 얘로 인해 한국인에게도 가장 익숙한 일본 성씨일수도 있는


타카나시(小鳥遊)




이 성씨는 일본에서 100명도 안 되는 사람만 쓰는 희귀성씨로, 매(타카)가 없다(나시), 매가 없으니 작은 새들이 놀기 좋겠네 해서 타카나시라고 읽는다.






그런데 왜 이런 변태적인 성씨가 생겨났을까?




한 가지 유력한 추측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본가에서 분가할 경우, 분가한 사람은 원래 성씨의 읽는 법은 그대로 두고 한자만 바꿔서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img/23/11/17/18bd954f12f53a413.png



즉, 타카나시(小鳥遊)는 원래 타카나시(高梨) 가의 일원이었으나 분가해서 해당 한자를 쓰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img/23/11/17/18bd9559a0e53a413.png



실제로 역사상 기록에서도 타카나시(高梨)가 장남에겐 타카나시 성씨를 그대로 물려주고,


둘째에게는 타카나시(鳥?, 뜻: 새들이 즐겁다), 셋째에게 문제의 타카나시(小鳥遊)의 성씨를 물려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워낙 중2병스러운 성씨이기에 일본에서도 컬트적 인기를 얻고 있다.


오죽하면 실제 이 성시인 사람보다 서브컬쳐에 이 성씨를 쓰는 캐릭터가 더 많겠다는 말도 나올 정도.







3줄 요약:




img/23/11/17/18bd95854fc53a413.jpg



타카나시 릿카는




img/23/11/17/18bd9586a6953a413.webp


귀엽다.

댓글 0

댓글 작성익명으로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Loading...